본문 바로가기

소견

우리는 왜 `창의적`이지 못한가?


우리는 '이런 거' 왜 못 만드냐고?

http://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07&newsid=20100501182507010&p=ohmynews

요근래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이 난리다.

그러면서 왜 우리나라는, 특히 삼성은 왜 이런걸 못만드냐고 또한 난리다.

삼성이란 회사를 싸잡아서 창의력이 부족한 회사라고

창의성이라고는 말살시킨 절대 저런 제품이 나올 수 없는 회사라고 말을 한다.

그리고 또 위의 기사는 한국사회가 가지는 "문화"가 절대 창의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제품이 안나온다고 한다.

참 씁쓸하다.

우선 먼저 씁쓸한건

1. 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는 애플의 "창의성"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다.

=> 아이팟은 우리나라의 MP3 플레이어를 따라서 만들어낸 제품이다. 또한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도 우리나라가 먼저 만들었으며, 아이패드와 같은 타블렛 피시는 오래전부터 나와있던 제품이다.

애플이 높은 기술력과 사업력을 바탕으로 성공시켰을 뿐인데, 애플은 창의적인게 되고

우리나라는 몹쓸 "창의력"없는 나라가 되어버렸다.

그 안에 성공시키고 성공 못시키고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이 창의성이라고 하면 할말을 잃게 되지만

그 제품 자체만은 우리도 만들었고, 먼저 시작했었던 것들이다.

우리나라의 창의성은, 웹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그나마 미국과 비슷하게 시작한 웹에서는

우리나라의 창의성이 빛을 발한다. 미국의 어느 SNS 서비스보다 좋은 시스템을 먼저 구축한 싸이월드라든지

네이버의 지식인과 같은 서비스라든지...미국의 어느 웹 기반 서비스보다 더 멋진 시스템을 구축한 나라가 아닌가..

다만 영어를 쓰지않아 외국으로 뻗어나가지 못했을 뿐이지.



2. 두번째로 씁쓸한건,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제적 문화적 학문적 산업적인 격차를 생각하지도 않고 내뱉는 말이다.

막말로 미국에서 "창의적"으로 달에다가 사람 보내고 있을 때

우리나라는 깡통 하나 자국에서 생산하지 못했다.


빌게이츠가 1968년에 천공카드로 프로그래밍 공부하고 있을 때

우리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우리나라에서 반도체를 만들어내겠다고 생각했던 것 자체가

우리나라가 세계 10위안에 드는 경제 대국이 되겠다고 생각했던 것 자체가

너무나 창의적이지 않을까 싶다.

오죽하면 흔히들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르겠냐

3. 세번째로 씁쓸한건, 우리나라가 창의력이 부족한게 사실이라는 거다.

다만, 저위 기사에서 지적한 거와 같은 이유가 아니다.

우리나라가 창의력이 부족한 것의 이유는

우리나라의 문화적으로나 지리적으로나 창의력을 키우기에 부족한 환경이란 것이다.

우리나라를 아무리 돌아봐도 우리는 매번 비슷한 것만 볼 수 밖에 없다.

삼면이 바다라 외국의 다른 문화를 접할 수도 없고

특별히 거대하거나 극복해나가야 할자연환경도 없고

창의력, 창의성은 많은 것을 보고 배우고 느끼고 체험할 때에 자라난다고 나는 믿고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믿는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저런 창의력을 키울수 있는 믿거름이 너무나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보고 느끼고 배울 문화적 유산도 적을 뿐더러

인접한 외국도 없으니 새로 배울 것도 없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부단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4. 마지막으로 씁쓸한건 왜 우리나라만 자조하는지?

우리나라는 고작 G20에 들어간지 얼마안된 나라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인도네시아로부터 원조를 받던 나라이다.

그런 우리가 지금 이렇게 찬란하게 발달해왔다.

왜 우리는 저런거 못만드냐고?

우리만 못 만드냐? 지금은 미국이라는 나라만 저런 것을 만들고 있다.

소프트웨어, 컨텐츠 시장은 미국의 거대한 자본력과 축적된 경험과 기술이다.

세계 제일의 기술.

우리는 그 세계 제일의 기술을 따라가야 하는 입장이다.

왜 우리가 저런것 못 만드냐는 것은 명확하다.

애플은 현재 저 분야의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우리는 부단히 애플의 기술을 베끼고 배워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할 것이다.

애플이라고 쉬지 않고 뛸테니

이제까지 일본을 상대로 해온 경쟁과는 사뭇 다른

정말 힘든 경쟁이 될 것이다.

'소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수생각, 졸부편, 실천합시다.  (0) 2012.02.05
1. 정치, 사회  (0) 2010.02.13
소견이라는 카테고리의 생성  (0) 2010.02.13